본문 바로가기

공감

타이틀공지사항

Legislation on Corporate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Introduced in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Business enterprises, with their economic and social influence, have long become essential actors in various global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economic crises, conflicts, and the climate crisis.

In particular, there is a pressing need to allocate responsibility commensurate with the influence of multinational enterprises with global supply chains outside the control of a single state.

The 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UNGPs), adopted in 2011, provides guidance on how business enterprises may fulfill their responsibility to respect human rights. However, relying on voluntary adherence to these principles have resulted in uneven practice among enterprises and have proven insufficient for the effectiv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As a result, the institutionalization of mandatory human rights due diligence according to the UNGPs have become a global trend.

As a member of the Korea Transnational Corporations Watch (KTNC Watch), a network of CSOs monitoring human rights, environmental and labour issues arising from business activities of Korean companies abroad, GongGam has worked to enact a mandatory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mHREDD) legislation in Korea.

And on 1 September 2023, the Legislative Bill for the Act on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for Sustainable Business Management, which incorporates human rights due diligence according to the UNGPs, was introduced by MP Jung Taeho in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Joint Statement of the Civil Society and the Member of the National Assembly]
Introducing Legislation on Corporate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for a Sustainable Future

Twelve years after the UN Guiding Principles on Business and Human Rights (UNGPs) was endorsed in 2011, the concept of “corporate due diligence” suggests that companies shall identify its adverse impact on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prevent or mitigate the impact, and disclose information on the procedure, is now globally recognized.

Today we are to introduce a bill on mandatory due diligence on human rights risks and environmental impacts, a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come to recognize that human rights abuses and environmental degradation caused by corporations are major threats to humanity’s sustainable future. It is a widespread agreement that business entities shall bear the responsibility to oversee risks that they pose to human rights and the environment throughout their value chain, and it is now inevitable for governments to introduce legislation to enforce such responsibility. Without such a change, neither CSR, which focuses on corporate giving, nor ESG, which emphasizes non-financial risks to corporate profits, can solve the global crisis.

France, Germany, and Norway have already introduced mandatory human rights due diligence, and the EU is going through legislative procedures to establish a corporate duty to implement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the Netherlands also have laws on human rights due diligence, albeit in limited areas, and Japan is actively discussing the enactment of such laws at the government level. Given the international trend and export-oriented structure of the economy, the Republic of Korea (ROK) has no choice but to enact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We hope that this legislation will enable Korean companies, which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ver the global value chain, to take the lead in addressing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risks arising from their transnational activities in line with the international norm.

We are not the first to point out the necessity of mandatory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in the ROK. In November 2022, Thomas Andrews, the UN Special Rapporteur on the situation of human rights in Myanmar, visited the ROK and recommended introducing mandatory human rights due diligence law citing the economic ties between Korean companies, including state-owned enterprises, and the Myanmar military. In addition,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issues involving Korean corporations have been highlight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cluding the destruction of tropical forests and violation of indigenous peoples’ rights in Indonesian palm oil plantations, and poor labor rights in Korean garment factories around the world. That is why as early as 2017, the UN Committee on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Rights made a specific recommendation to the ROK to legislate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in the supply chain.

Even in the absence of such expectations from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t is our responsibility and obligation to create laws and systems that prevent Korean companies from engaging in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abuses at home and abroad. We strongly urge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Korean government to actively work towards the enactment of this law, so that it can serve as a wake-up call for Korean companies to reflect on their business practices with a view to prevent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violations. Furthermore, Korean companies are already being affected by the mandatory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laws of other countries, as they are part of the global supply chain. If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hesitate to discuss and pass this law, it is highly likely that Korean companies will lag behind the international trend.

In this regard, we will continue to work actively to pass the bill, which aims to mandate human rights and environmental due diligence in the supply chain.

September 1, 2023
Rep. Jung Taeho, Democratic Party of Korea
Korean Transnational Corporations Watch

Written by Youngah Park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인권환경보호에 관한 법률안 발의

기업들은 그 경제적 사회적 영향력으로 인해 경제위기, 전쟁, 기후위기 등 전 지구적으로 인권과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문제들에서 빠질 수 없는 주체가 된 지 오래입니다.

특히 특정 국가의 통제력에서 벗어난, 세계적 공급망을 갖춘 초국가적 기업의 경우 영향력에 걸맞는 책임성 부여가 시급한 과제가 되고 있습니다.

2011년 채택된 유엔 기업과 인권 이행원칙(UNGP)은 기업들이 인권 존중 책임을 어떻게 이행할 것인가에 관한 지침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지침의 자발적 이행에 기대어서는 기업간 편차 발생 등으로 인권 및 환경의 효과적 보호가 요원하여 UNGP에 따른 인권환경실사 의무화하는 것이 세계적 흐름입니다.

공감은 한국 기업의 해외활동으로 발생하는 인권/환경/노동 문제들을 감시해온 기업과인권네트워크의 연대단체로서 한국에서도 인권환경실사법이 제정될 수 있도록 노력해왔습니다.

그리고 2023년 9월 1일, 정태호 의원실 대표발의로 UNGP에 따른 인권환경실사를 담은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인권환경보호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되었습니다.

[기자회견문]

기업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인권환경보호에 관한 법률안 발의

국회와 시민사회의 공동기자회견문

2011년 유엔 기업과 이행 원칙이 통과된 이후, 기업들로 하여금 공급망에까지 인권 및 환경침해 위험을 식별하게 하고 이를 예방하고 방지하는 대책을 세우게 하고 이를 공개하게 하는 인권환경실사(Due Diligence)는 거스를 수 없는 국제사회의 흐름으로 자리잡았다.

기업들에게 공급망에까지 인권환경실사를 의무화하는 것은, 기업들로 인한 인권침해 및 환경파괴가 인류의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협하는 커다란 위협이라는 데에 국제사회가 인식을 같이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업의 기부에 초점을 맞춘 CSR이나, 비재무정보를 공시하는 ESG 경영만으로는 지구적 위기를 극복할 수 없는 상황에서, 최소한 기업들이 공급망까지 인권 및 환경침해 위험을 두루 살필 책임을 지우는 것이 필요하다는 이 합의를 법률제정을 통해 이행하는 것은 각국 정부에 피할 수 없는 과제가 되었다.

이미 프랑스와 독일과 노르웨이는 이 인권환경실사를 법률로 의무화하였고, 현재는 EU차원에서 인권환경실사를 법제화하는 과정이 진행중에 있다. 미국과 영국 및 네덜란드에서도 한정된 분야이지만 인권환경실사에 관한 법률이 시행 중이며, 일본 역시도 정부 차원에서 적극 이 법의 제정을 논의 중에 있다. 수출중심의 한국 경제구조와 한국의 경제규모, 그리고 현재 국제질서를 감안할 때, 한국도 이 법을 제정할 수밖에 없는 처지에 놓인 것이다.

우리는 이 법안을 통해 초국적 경제활동에서 적지 않은 영향력을 행사하는 한국 기업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발생하는 인권환경 위험에 국제사회 흐름에 발맞춰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를 바란다.

한국 기업의 인권환경실사 도입 필요성이 제기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해 11월 한국을 방문한 토마스 앤드류스 유엔 미얀마 인권상황 특별보고관은 공기업을 포함한 한국 기업과 미얀마 군부와의 경제적 협력 관계를 이유로 인권환경실사법 도입을 권고했다.

이외에도 인도네시아 팜유농장에서의 열대림 파괴 및 선주민 권리 침해, 세계 곳곳의 한국 의류공장의 열악한 노동권 문제를 포함하여 국제사회에서 한국기업이 연루된 인권 및 환경문제는 지속적으로 지적되어왔다.

그러하기에 이미 2017년도에 유엔 사회권 규약위원회는 한국정부에 공급망에까지 인권환경실사를 법제화하라는 구체적인 권고를 내린 바 있다.

국제사회의 권고와 기대가 아니어도, 한국기업이 국내외에서 인권 및 환경침해에 연루되지 않도록 법과 제도를 만드는 것은 우리의 책임이자 의무이다. 이 법이 최소한 한국기업들로 하여금 인권 및 환경침해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스스로를 돌아보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국회와 정부가 이 법의 조속한 통과를 위해 적극 노력해줄 것을 강력히 요구한다.

이미 EU에 진출한 한국기업들뿐만 아니라 국제적 공급망에 속한 여러 한국기업들이 인권환경실사 의무화로 인한 영향을 받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에게 부담이 된다는 이유로 이 법에 대한 논의와 통과를 주저한다면, 결국 한국기업도 피해자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런 면에서 공급망에서의 인권환경실사 의무화를 골자로 하는 이 법안이 통과될 수 있도록 사명감을 갖고 적극 노력해 나갈 것이다.

2023년 9월 1일

국회의원 정태호

기업과인권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