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감

[공감통신] 무력감에서 벗어나는 연기 – 류은숙 (인권연구소 ‘창’ 연구활동가)

 

 

 예전엔
그렇게 많이 보더니
…….”

 

친밀한
사람들이 내게 자주 하는 말이다
.
괜찮은
영화가 있다고 같이 보러 가자고 손 내밀 때마다 내가 단칼에 거절하기 때문이다
.
왕년에
영화팬 아니었던 사람 없고 지금도 영화감상이 취미가 아닌 사람 찾아보기가 어렵다
.
나 또한
둘째간다면 서러워할 영화팬이었다
.
앉은
자리에서 내리 다섯 편을 보는 일도 흔했다
.
그런데
중년 언저리에서부터인가 영화 보기가 버거웠다
.
나이
탓인가
?’
나이와
영화가 무슨 상관이라고
?’

 

 

 

나름대로
이유를 탐색했는데 결론은 싱겁게 났다
.
슬프고
아픈 것을 견뎌낼 능력이 말라가고 있다는 거였다
.
지독하게
슬픈 것을 보고 흠뻑 울고 카타르시스를 느끼는 경험이 더는 가능하지 않았다
.
가슴이
찢어질 것 같고 우울감에서 빠져나올 수 없게 됐다
.
등장인물들이
겪는 모욕과 굴욕이 통과의례로 보이지도 않았다
.
예전에는
영화관에 들어가면 두어 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가서 아쉬워했는데
,
이젠
숨쉬기가 버겁고 빨리 벗어나고만 싶어졌다
.
나는
폐소공포증이라는
나름의 병명까지 내 증세에 갖다 붙였다
.

 


취향을 우월시하며
저급하다니
유치하다는
등의 꼬리표를 붙였던 장르로 옮겨갔다
.
결말이
해피엔딩임을
확인하고서야 보게 됐다
.
중간에
펼쳐지는 오해와 난관이 싫어서 그마저도 안 보게 됐다
.
결국
남들이 비웃는 이상한 취향에 안착하게 됐다
.
극장
근처에도 잘 안 가고
,
드라마를
보더라도 처음부터 끝까지 보는 일은 없게 된 것이다
.
급속도로
화해와 개심
,
사랑의
절정으로 결말지어지는 마지막 회만 반복해서 보는 게 취향이 돼버렸다
.

 

하지만
아무리 애써도 안 들어갈 수 없는 극장이 있다
.
현실의
고통이 상영되는 곳이 바로 내 삶이고 내가 속한 사회이다
.
시네마천국의
토토는 지루하고 힘든 현실을 편집할 수 있는 영화를 부러워했다
.
현실의
고통은 편집될 수 없고 어떤 영화의 재현보다 더하다
.
첨단
미디어의 시대에 노동자와 장애인 등은 난간에 광고탑에 다리 위에 매달려서야 자기 말을 전한다
.
일하다
죽고 다치고 모욕당하는 게 눈 깜빡이는 것처럼 쉽게 자주 벌어진다
.
여성이라는
이유로 온갖 폭력의 손쉬운 표적이 된다
.
특별하지
않은 일상의 사건들이 죄다 하드코어 장르다
.

 

문제는
여기에선 내게 요구되는 역할이 있다는 거다
.

장르에선 주연이 못 되는 게 되려 운 좋은 거다
.
하지만
주연이 아니더라도
고통의
목격자
로서의
역할이 있다
.
나는 내
캐릭터를 분석하고 연기해야만 한다
.

 

연기가
필요 없는 제일 쉬운 역할이 있다
.
엄청난
고통의 목격자로서 그 생각만으로도 우울하고 살맛이 안 나는 상태
,
죄의식에
푹 빠져 있지만,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무력감에 빠지는 역할이다
.
가해세력이
피해자와 피해자 편에 선 사람들의 무력감을 즐기는 걸 뼈저리게 느낄 땐
,
목격자도
뭣도 아니고 극에서 슬며시 빠져나오고 싶다
.
가해세력을
성토하면서 도덕적 우월감에 빠져보기도 하지만
,
나 또한
책임지는 행동이 없다는 데서 금방 공허해진다
.
다시
무력감에 빠지는 역할로 되돌아온다
. 제일 맡기
싫은 배역이지만
,
나뿐
아니라 많은 사람이 이 배역의 역할에 전염되는 것 같다
.

 

나는 이
역할극에서 어떤 대사를 읊고 있는가
?
나는
구토하듯이 성토와 저주의 말을 내뱉기만 하는 것인가
?

말답게
함으로써
사람들이 그

저마다의 방식으로
반복하고 그
을 통해
서로 가까이 다가서게끔 하는가
?
그런
반복과 다가섬을 통해 뭔가를 도모하게 되는가
?
그것이
어떤 효과를 발휘하게 만드는가
?
효과를
확신할 수 없어도 계속 가고 있는가
?

전체의 극
,
처음부터
끝까지를 지켜보는 충실한 목격자가 필요한 것 같다
.

 

목격자는
수동적인 게 아니라
효과
방향성과 효과를 좌지우지할 힘을 갖고 있다
.

과정은 결말만 보고 시시하다 말할 수 없는 드라마이다
.
나는
쉬운 결말이 아닌 대하드라마를 지켜볼 마음으로 충실한 목격자가 될 수 있을까
?
나는
혹시
지겹다
괴롭다는 말로
고통의 당사자를 내쫓는 건 아닐까
?
나는
은밀하게 그런 추방행위를 하는 집단에 동조하는 역할을 하는 건 아닐까
?
이런
질문에서 맞닥뜨려야만 하는 내 속에서의 격렬한 부대낌의 경험을 생략하려 들지 않는가
?
자신에
대한
,
서로에
대한 이런 질문 속에서 우리는 무력감에서 빠져나오는 연기를 해낼 수 있지 않을까
?
적어도,
나의
영화 또는 드라마 감상 태도처럼 삶에 대한 태도가 변하는 걸 내버려둘 수는 없을 것 같다
.
다시보기
시도해야 할 것 같다
.

 

글_류은숙 (인권연구소
연구활동가)

 

공감지기

연관 활동